현재의 통합형 수능 체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성공을 위해서 문·이과 구분을 폐지하고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도입됐다.
이에 따라 국어영역은 ‘공통과목(독서·문학)’과 함께 ‘언어와 매체’·‘화법과 작문’에서 1과목씩 선택해 시험을 치르고, 수학 영역도 ‘공통과목(수1·수2)’과 함께 ‘확률과 통계’·‘미적분’·‘기하’에서 1과목씩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선택과목 난이도 차이로 인한 유불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점수 조정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공통과목 성적이 우수한 집단은 선택과목에서도 더 높은 점수를 받게 된다.
하지만 지난해 정시전형의 최초합격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상위권 대학 문과 계열 학과들에서 이과생으로 간주하는 미적분 및 기하 응시자가 60% 이상 나타나 문과 수험생들의 혼란 및 N수생 양산을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았고, 이러한 현상은 올해까지 이어지게 되며 통합형 수능 체제의 도입 취지가 무색하게 되었다.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며 첨단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은 필수적이며 과학이 발전할수록 인문학의 중요성이 강조된다는 점과 통합 수능의 취지의 본질을 생각할 때 이주호 장관의 발언은 환영할만하다.
그러나 통합 수능의 정책적 보완을 꾀하기보다는 학생들을 통합형 인재로 키울 수 있도록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교육과정이 입시제도와 일치하는지 점검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면한 입시에서 문과의 불이익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이주호 부총리의 의견은 역대 수능에서도 확인되었듯이 수능의 난이도 조절은 당해연도 수험생들의 학력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올 수가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은 현재의 통합형 수능 체제 이전처럼 문과 수험생들이 이과로의 교차지원을 막기 위한 전형처럼 이과 수험생들의 문과 교차지원을 막는 대학 자체 입시 전형 개선이다.
<저작권자 ⓒ 시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