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가 마무리되는 12월,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져 세상이 얼어붙고 있다. 그런데 얼어붙은 것은 세상뿐이 아니다. 청년들의 일자리가 꽁꽁 얼어붙어 좀처럼 청년고용 불황에서 벗어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11월 청년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5,000명 이상 줄어들어 감소세다. 11월 청년취업 현황을 보면 15∼29세 청년 취업자 수가 작년 2월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전체 취업자 수는 62만6000명으로 큰 폭으로 늘어났으나 취업자 수의 76.5%는 60세 이상이다. 늘어난 일자리의 10개 중 8개가 고령층으로 돌아가면서 청년 일자리가 줄어든 결과로 나타났다.
내년도 우리나라의 경제 전망은 밝지 않다. 물가는 오르고 성장은 느려지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닥칠 것이 예상되어 고용의 질이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주요 기관들은 내년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경제를 지탱하던 수출 증가율은 8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다. 문제는 내년에도 청년 일자리가 늘어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경기침체로 기업이 채용을 축소하려는 움직임까지 있어 2023년 청년취업은 최악의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청년들이 취업을 선호하는 대기업들은 경영 실적과 경제 환경 악화를 이유로 고용 규모를 줄이고 있고, 증권사, 해운업계, 유통업계는 희망퇴직을 시행하면서 몸집을 줄이고 있다. 경제 불황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것이다. 거기에 더해 벤처투자의 위축으로 30세 미만의 청년 창업도 줄면서 청년들의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물론 정부에서도 청년취업에 관심을 쏟고는 있으나 그 효과가 예상보다 작게 나타나자 고민이 깊어진다. 취업 빙하기가 현실로 다가온 만큼 정부의 역할이 있어야 한다. 기업들이 청년취업을 할 수 있도록 기업 지원을 확대하고 기업과 취업 희망 청년들을 연결할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 정부의 예산 투입만으로 청년취업을 늘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미취업 청년들의 재교육 프로그램도 대폭 늘려야 한다. 청년들이 대기업을 선호하기는 하지만 중소기업들과도 호흡을 맞춰 단기적 일자리가 아닌 장기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청년 일자리를 늘리는 효과적인 방법은 기업들이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공무원이나 일부 공기업을 제외한 일자리는 결국 기업이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전 정부에서 ‘소득주도 성장’ 정책으로 공공 일자리를 늘렸으나 단기적 효과에 그치며 장기적인 청년 일자리 창출에 실패한 것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새해는 정책의 변화와 쇄신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정부가 좀 더 공격적으로 나서야 한다. 단기 일자리 창출에 매몰되지 말로 장기적 안목으로 새로운 대책을 세워야 한다. 기업이 마음껏 일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제를 개혁하고 마음껏 투자할 수 있도록 투자의 발목을 잡는 각종 걸림돌을 없애야 한다. 그래야 기업들이 청년 일자리에 창출에 협력할 수 있다. 정부와 기업의 새로운 각오와 협력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시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