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여년 분단의 비극… 멀리 돌아가야한다
70년분단의 벽이 하루 아침에 무너지길 기대하는 것은 희망사항일 뿐이다. 한민족·한겨례·한형제가 철조망을 두루고 상호간 빗장을 걸어둔지 반세기를 넘고도 강산이 두번이나 변했다. 생각 같아서는 정상끼리 만나 가타부타 합의서 하나 작성하고 날인하면 되는 문제가 아닌가 싶지만 결코 간단치 않다는 사실을 주지해야한다. 흡수통일을 하든 적화통일을 하든 전쟁을 통해서라면 그해답이 빠를 수 있다. 하지만 그 외에의 어떤 수단도 남북이 평화로 가는길에는 숱한 난관이 도사리고 있고 여차하면 원점으로 돌아가기 쉽다. 최근 남북간 정상회담이 있었고 평창올림픽에 한반도기가 나부끼고 남북한을 왕래하며 평화를 염원하는 공연이 열렸다. 실제로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체제보장이되면 비핵화를 하겠다는 전일보한 발언들을 서슴지 않았다. 곧 북미회담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진행될 것으로 약속돼있다. 우리 정부나 국민들은 숨가쁘게 돌아가는 평화의 수레바퀴 소리에 환호하고 때론 긴장하며 이를 지켜보고 있다. 언젠가 누군가 반드시 우리의 염원인 남북평화와 통일을 해내야하며 그 발판은 놓아야한다. 안보만을 앞세운 적대적 정책속에서는 남북 상호간의 이익은 없다. 한쪽은 핵을 손에 쥐고 다른 한쪽은 압도적 경제권을 쥐고 협박과 압박만 일삼다 보면 앞길은 평행선이다. '꿩잡는게 매다'라는 말이 있다. 속담인듯 하지만 격언에 준한다. 말로서 노래로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고 70여년간 외쳐댔지만 진일보 한적이 없다. 현실을 보자 이제 서서히 '통일'이라는 두글자가 사전적 의미로 퇴색되어가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젊은층에서는 '통일 왜 하나'반문이 아닌 반대하는 성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나마 전쟁을 경험한 세대와 고령의 이산가족들이 거친 숨을 쉬며 만남과 통일을 염원하고 있기에 아직은 통일이 대세라 하겠으나 향후 10년 20년이면 현실에 안주하려는 세력들이 주류를 이루고 남북간 한민족은 이질감을 넘어 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으로 완전히 양분돼 분단이 아닌 서로 다른 국가로 인식하며 살아갈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기에 100년이 지나도 풀어야 할 민족의 숙제는 통일이다. 통일은 인식이나 사상을 뛰어넘는 사실관계 그 자체다. 따라서 이번 남북관계는 시작이 반이라 했듯이 남남간의 갈등이나 반목을 우선해소하고 정치권은 물론 국민들이 하나의 마음으로 기회를 기회화 해야한다. 여야간 정치적 잣대로 유불리를 따지는 것은 민족과 역사앞에 죄인이 된다. 남북 분단의 비극적 상황변화를 방해하는 세력! 그들이 우리 주변에 즐비하다. 미·중·일·러 4대 강국이 첨예한 이해득실을 따지며 겉으론 한반도 평화에 박수를보내고 절대 지지를 외쳐대지만 자국의 이익에 따라 '말리는 시누이'와 같다. 향후 남북관계가 평화적으로 정상화되려면 어느때보다도 정치적으로 안정이 돼야한다. 국가의 중차대한 남북간 화해무드가 정쟁앞에서 멈칫거리는 모습이 안타깝다. 세계의 이목이 유일한 분단국단국가인 남북한에 쏠려있다. 이 문제는 여야간 유불리의 잣대로 함부로 재단해선 안된다. 또한 알방적이어서도 안된다. 당정청만의 문제로 흐름을 주도해서도 안된다. 국민적 합의가 국회에서 반드시 선행돼야하고 큰일을 도모하기위해서는 돌출된 정쟁을 중단하고 촛불민심이라는 미명하에 보복정치처럼 비춰지는 일련의 사태들로 민심과 정치권을 자극해선 득 될게 없다. 민족의 대명제인 남북평화의 길을 모색하는 절호의 기회가 이로서 퇴색되고 반복되지 않길 바랄뿐이다. 남북간의 화해는 정치적 타협과 화해없이는 결코 성공을 가져올 수 없음을 명심해야한다. 남남간의 통일의 목소리도 내지못하면서 남북간 통일의 초석을 나홀로 쌓으면 되겠다 생각한다면 이것은 '아마추어 리즘'이다. 또한 민족의 갈망인 남북평화모색에 재뿌리는 발언은 삼가해야한다. 설령 이번 회담이 원하는 만큼의 성과가 없다 손쳐도 우리는 남북상생의 길을 위해서는 끊임없이 노력해 나가야한다. 원컨대 차제에 민주적 방식의 진정한 평화를 고대해본다.
유의호 <편집국장 | 2018/05/23 게재>
<저작권자 ⓒ 시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