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범수용소 같은 국회가 존재하는 한
세상이 온통 물구나무를 서야 바로 보인다. 비정상이 정상이다 보니 정상을 비정상으로 여기게 마련이다. 정상이 설곳을 잃어 정상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여간 어렵거나 외롭지 않다. 하나같이 넓은 길을 택해 가는데 혼자서 의롭게 살다간다는 것이 한편으론 꽤나 어리석음 같다. 대중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대중이 당당히 주인인 세상! 그 당당한 대중이 바로 비정상에서의 정상이라면 이 거대한 물길을 어떻게 바로잡아야 할지 모를 일이다. 문제는 비정상이 정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그들도 잘 안다는데 있다. 정상이 한마디로 밥 먹여 주느냐는 것이다. 밥, 그 밥이 생명줄임을 부인할 자는 없다. 자고이래로 인류의 역사가 이 밥줄 때문에 살고 죽고 하는 원인이자 이유다. 이를 함부로 반론을 할 수 없다. 왜냐면 ‘너는 뭐 먹고 사느냐’에 답이 궁색하기 때문이다. 사람답게 살자고 서로를 위로하고 서로에게 박수로 응원을 하지만 ‘사람답게 산다는게 무엇인가’라는 화두에 부닥뜨리면 유구무언이다. 그 어떤 해답도 이 질문앞 에서면 현답이 없다. ‘먹고 산다’ ‘먹고 살기위해 땀 흘린다’ 결국 먹어야 살고 먹어야 일하고 먹어야 생명을 연장하고 먹어야 깨닫는다. 그러기에 이 자체의 논란은 ‘우문우답’ 일뿐이고 결국 비정상이 정상이라는 결론으로 치닫는다. 정직하게 살고 이를 최소한 실천하려면 오직 한곳만을 바라봐야 하고 그 속에서 일탈해선 안된다. 정직은 청렴과 맥을 같이한다. 그러나 이 청렴은 청빈의 삶을 벗어날 수없게 하는 카테고리다. 대중은 흑백논리를 용납하지 않는다. 적당히 타협하고 적당히 용서하고 이해하고 적당히 속고속이며 사는 것 그것이 대중의 힘이며 대중의 가치관이다. 대중은 단순한 숫자놀이를 즐긴다. 윤리도덕이나 사상에 잘 반응하지 않고 이를 삶의 외적으로 여긴다. 그러기에 청렴과 정의를 부르 짓는 사람들은 춥고 배고프다. 이것이 청렴한 선비의 비운이다. 하루아침에 비정상이 정상을 밟고 선 것이 아니다. 아담 때부터 시작된 도전은 바로 정상을 수호 하는게 아니라 배타적 시각으로 판단하며 배척을 시도했다. 결국 정상이란 용어는 뭇 인간에게 삶의 바로미터로서 손색이 없는 ‘무결점’이지만 그 무결점이 자유분방한 삶의 법의 잣대이기에 외면하려한다. 인간의 삶은 의식주에서 비롯된다. 특히 민주주의 자본국가 사회는 자본을 중심으로 등급이나 서열을 정하고 있어 정상적 삶을 통해서는 정상(頂上) 즉 최고가 되지 못한다. 인간의 목표는 두 가지의 정상화가 있다. 동물적 본능인 약육강식이 그 첫째다 누구보다 우위를 선점하려 한다 이것은 전쟁이다 곧 삶의 전쟁터 이다. 이처럼 경쟁에서 얻어지는 정상의 등극이 살아가는 이유의 첫 손가락이다. 둘째는 正常이다 제대로 된 상태를 말한다. 인간은 頂上을 차지해야 이를 만족이라고 표현하고 이를 正常이라 말한다. 결과적으로 ‘頂上 = 正常’으로 소통된다. 이를테면 최고의 가치를 소유 했을 때 만 일상을 바르게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소수의 의견이 아니라 대중의 관점이다. 따라서 정치를 통해 또는 교육을 통해 비정상을 정상화 시키겠다는 발상은 사흘 굶은자 에게 밥을 맡기는 꼴이다. 약육강식의 법칙이 존재하는 한 이를 막을 어떤 비상수단도 없다. 공산주의를 통해 인간을 정상화시킨다는 논리는 논리일뿐 인간이 공산화 되지는 못한다. 공산주의는 독재를 통해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지만 이 또한 가정 일뿐이다. 정부가 캐치프레이즈이자 국가혁신의 첫 단추를 ‘비정상을 정상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하고 이의 실천을 위해 개혁의 고삐를 바짝 쥐어가고 있다. 그 개혁의 화두는 청렴이고 정직이다. 과연 이 궁극의 목표가 실현될까 이는 불가능하다. 사회적으로나 구조적으로나 경쟁의 시대를 살아가는 동안 그 경쟁이 이기는데 최종목표를 두고 있는 한 결코 선한 경쟁은 없다. 시대를 아우르고 법을 만들어 질서를 바로세우는 국회가 오직 집권욕을 우선순위로 삼고 여야가 경쟁에 혈안이 되어 있는 한 우리사회가 나아가 국가가 천지개벽할 일을 없다. 다만 비정상이 정상처럼 되어버린 세태를 인식하고 이 대목에서 진정한 정상화를 꾀하겠다면 ‘나눔’이다. ‘분배’다. 배터지는 사람 배고파 주는 사람... 이 불균형을 균형 있게 바로잡아주는 정치가 곧 정상화의 지름길이다. 따라서 정치집단이 이익집단으로 변질되어 있는 한 비정상이 정상노릇을 하는 것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한 곳으로 집약되어 있는 지배구조를 흩어놓거나 많이 가진자 에게 세금폭탄을 안겨주는것도 정상화의 한 방편이다. 10%가 90%를 소유하고 90%가 10%속에서 먹고 살아야 하는 현실 과연 이 속에서 정상화를 꾀하는 것 자체가 비정상이 아닐까 싶다. 정치의 근본 목적은 ‘모두가 잘먹고, 잘 사는 것’ 이다. 도덕적인 가치와 법질서 확립을 통해 정상화를 꾀한다는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유의호 <편집국장 | 2014/09/12 게재>
<저작권자 ⓒ 시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