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고]인생의 목표는 `죽음'

유의호 편집국장 | 기사입력 2022/09/27 [16:30]

[사고]인생의 목표는 `죽음'

유의호 편집국장 | 입력 : 2022/09/27 [16:30]

 유의호 편집국장

얼마쯤 왔을까 얼마쯤 남았을까

내게 주어진 시간이.....

때론 너무길다 싶고 때론 그 시간의 개념조차 잊은채 세월에 한참을 떠밀려온듯하다.

정점을 모르기에 매일같이 출발점에 서있는 인생들이 나를 비롯해 무척이나 애처롭다.

무엇을 어떻게 살다가 되돌아가야 하는지 그 무엇조차 정답이 없고보면 왜 살아야 하는 이유도 사실은 없다.

`촌음을 아끼고 목적을 정하고 최선을 다하라'는 앞서간 자들의 삶의 철학도 마음에 와 닿지 않음은 내 삶의 진정한 바로미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생들의 최고 목표가 ‘이왕에 왔으니’로부터 시작되기에 대다수 삶이 백지한장의 차이일 뿐이며 더 이상의 이상이 없기에 죽음과 함께 물거품이 되기 마련이다.

결국 한줌의 재로 한줌의 흙으로 되돌아가기위해 태어났기에 삶의 애착이나 의미부여는 오히려 자신의 삶을 커다란 고뇌에 빠지게 하거나 끝없는 욕망의 나락으로 떨어뜨려 자신을 곤경에 처하게 할 뿐이다.

먼 산 바라보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 듯 한치앞을 보지 못하면서 천년의 꿈을 찾아 허공을 나니 하나같이 이성을 잃었다할 것이다.

자아를 발견하지 못한 채 ‘자아도취’에 빠져 백주에 대취해 땅을 구들삼아 널부러진 인간들 뿐이니 이를 어찌 생지옥이라 칭하지 않겠는가

헛됨을 ‘헛’으로 알고 죽음을 준비하는 자가 되지 않고서는 헛됨에 공들이다 준비 되지 않은 죽음을 맞이할 것은 자명한 이치다.

인생이란 탈을 쓰고 온자들은 온 순간부터 그 목적이 죽음이고 그 목표가 죽음이라는 사실을 깨우쳐야 한다. 그래야만 그 목표를 향해 도전하게 되는 것이며 그 목적지를 변경할 힘을 쓰게 된다.

이를 순리로 받아들이고 남이 간길 가는 길 따라 가다보면 사는 동안 최고가 되려하고 치부하게 되고 경쟁하며 악의 다툼하게 마련이다. 그렇게 해서 얻은 최고의 자리와 황금보석이 마지막 나에게 무엇을 해줄 수 있는가. 내 스스로 사회에 환원하지 않아도 북망산천 노잣돈 몇 푼 외엔 모두를 제자리로 돌려놓고 가게 마련이다.

죽음을 생각하고 사는 사람은 욕심을 내지 않는다. 이미 죽음의 의미를 알기 때문이다.

매일매시 죽음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은 생의 애착에 미련을 두지 않는다. 숨쉬는 것 그 하나만도 감사 할줄 안다.

천국은 내가 살아있는 동안 볼수 없다.

지옥은 내가 살아 있는 동안 지옥이다.

보이는 것은 허상일 뿐 보이는 것에 절하지 말라

얼마쯤 오고 남은 것에 초연함은 내가 지금 보이는 것에 짝하지 않음이고 정점이 없음은 시작이 없기 때문이다.

목표를 보이는 것에 두고 사는동안 살아도 살아있음이 아니다. 늘 우울하고 견디지 못해하면 목표를 달성해도 목적지에 도달해도 그 성취감이 한시를 넘기지 못한채 궤도를 수정해야 한다. 또다른 쌀독을 채우기위해...

만족하려는 동안 나는 늘 부족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가고 오는 것은 자연의 섭리다. 그 섭리를 거스리지 않으려면 있는 그대로 주어진 만큼 살면 된다.

 

유의호 <편집국장 | 2007/10/30 게재>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