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정권 퇴진 촛불집회, 이태원 참사 정략화 경계해야

시대일보 | 기사입력 2022/11/13 [11:23]

정권 퇴진 촛불집회, 이태원 참사 정략화 경계해야

시대일보 | 입력 : 2022/11/13 [11:23]

집회와 시위의 자유는 대한민국 헌법 제21조에서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집회와 시위는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고 상식적이며 합리적인 주장이어야 한다. 최근 민노총과 진보 성향의 시민단체들이 대규모 도심 촛불집회를 준비하고 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정조사를 위한 서명운동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흐름을 보면서 걱정이 되는 것은 수백 젊은이들의 죽음이 정권 흔들기의 빌미로 사용되고 있을까 하는 것이다. 이태원 참사를 제2의 세월호로 삼아 정권 퇴진 운동으로 이어가려는 것은 참으로 경계해야 한다. 가족을 잃은 애통함이 채 가시기도 전에 국가적 비극을 이용하려는 세력이 있다면 이는 인면수심의 행태라고밖에 말할 수 없다.

 

주말 서울 광화문 광장이 소음과 인파로 뒤덮였다. 보수·진보 단체들이 대규모 집회를 연 것이다. 집회 과정에서 차로를 점거하고 대형스피커를 통해 노래와 구호를 쏟아냈다. 지나가는 시민들과 관광객들은 귀를 막고 지나가며 불편을 호소했다. 경찰은 시위 인원을 7만 내외로 추산하고 있다.

 

경찰은 이날 집회에 대비하여 경찰 350여 명을 배치하여 교통 관리에 나섰고 안내판 60개를 설치했다. 그리고 민주노총은 세를 과시한 뒤 8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주최하는 시민 추모 촛불집회에 합류했다.

 

촛불집회를 주최한 단체는 집회의 명분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것이라 했다. 하지만 행사장 곳곳에 내걸린 플래카드에는 ‘윤석열 퇴진’, ‘퇴진이 추모다’ 등의 정권 퇴진 구호가 적혀 있다. 모든 국민이 아파하고 애도한 비극적 참사를 반정부투쟁으로 연계시키려는 의도를 분명히 드러낸 것이다.

 

일부 세력들은 늘 국가적 참사나 대형 사고가 있을 때마다 선동을 통해 정략적 이익을 챙겼다. ‘광우병 괴담’ ‘천안함 폭침 자작극설’ ‘세월호 음모론’ 등을 퍼트리며 왜곡과 가짜 뉴스로 여론을 호도했다. 세월호의 비극을 이용하여 정권교체에 이룬 것처럼 이태원 참사를 이용한 정권 퇴진에 공감하는 국민이 얼마나 되겠는가.

 

이제 우리가 할 것은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 책임소재를 찾으며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일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수사와 조사를 통해 이러한 사고가 재발할 수 있는 근본적 원인을 없애야 한다. 거기에 더해 사고 재발을 위한 국민의 의식 개혁 운동도 함께 펼쳐야 한다.

 

국가적 재난과 시민의 아픔을 정략적 도구로 삼아 ‘참사팔이’를 하려는 세력을 국민이 경계해야 한다. 정부와 정치권은 사고 수습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통해 국민안전을 위한 시스템 개선에 국가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길 당부한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