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주의 능력이상을 기대할 수 없는게 기업이며 이 당연한 논리는 모든 단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전쟁을 수행하는 장수중에는 맹장과 지장 그리고 덕장이 있게 마련인데 맹장의 수하에는 졸장이 없고 지장 밑에는 어리석은 자가 없고 덕장의 부하는 세장수가 갖춘 모든것을 한꺼번에 얻게 된다. 지방자치시대가 개막된지 10수년이 흘렀지만 중앙정부의 통제시절과 크게 달라지바 없는 지자체가 있고 혹은 그때보다도 못한 경우의 시·군이 있다. 반면 타 지자체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면서 풍요를 구가하는 지자체도 눈에 띈다. 본래 지자치의 목적은 차별화다. 차별화를 보여주지 못하면 그 목적을 상실한 단체로 주민들의 원성을 받게 된다. 타지역보다 생활이 윤택해지고 각종 문화혜택을 받으면서도 세금은 덜내는 것 그것이 지자제에 대한 주민의 바램이다. 이를위해선 첫째 유권자의 선택이다. 즉 시장, 군수, 구청장을 선택하는데 유권자의 기준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는 선택받은 지자체장은 일단 등단후 하단해서 관중의 일원이 돼야하며 자신의 경험과 자신의 좌우명을 절대적으로 신봉해선 안된다. 객석에선 무대의 연출자들의 공연을 유심히 지켜보며 평가를 하게 딘다. 다시말하면 그 평가의 몫은 관중이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일단 단체장이 되면 일약스타(?)로 부상되기도 하지만 반하여 일거수 일투족이 전주민의 감시를 받게 된다. 폐일언하고 단체장이나 그에 상응하는 권한있는 공무원은 항상 깨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최근 B시청공직의 분위기는 심상치 않게 돌아가고 있는 느낌이다. 한마디로 `투덜투덜'이다. `양반이 욕은 못하고 X불X불한다'는 속담이 있듯이 꼭 그렇다. 누구 한사람 어느 한사람의 공직자를 만나도 볼멘목소리가 터진다. "시장은 법과 질서 원칙, 부시장은 자신의 판단과 경험이 최고"라는 관념하에 사고마져 보수적이라는 측면이 강해 공직분위기가 퇴1보화되는듯 하다는 불평이 쏟아지고 있다. 이 와중에 결재하나 득하려해도 전자정부시대에 역행 직접 결재를 받아야 하고 그러다보니 순서가 밀려 일주일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물론 그럴리 없겟지만 혹자들은 마치 시장과 부시장이 제역할을 함에 있어 경쟁관계에 있는 것처럼 착각이 들때도 있다고들 말한다. 과연 수십만이상의 대도시의 수뇌부가 이처럼 공직분위기를 힘들게 하는 것인지 아니면 공직자들이 자기불만을 전가하려는 것인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 중심에 그들의 이름이 빠지지 않는다는 것이고 보면 그 기질이나 스타일이 맹장과 지장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거나 아직은 무대에 선지 오래지 않아 관중을 의식하지 못함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무대에 서는 자는 관중을 상대로 연습을 시도할 순 없다.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지역특성을 살려나가는데 고민해야 하고 `내가 아니면 아니다'라는 식의 결정은 독선이자 독단이다. 수많은 공직자들을 책임있게 일하게 하려면 권한은 직급과 직위에 맞게 배분해야 된다. "人長之德이요 木長之敗라 했다" 고로 내판단 내생각 내철학이라는 자기중심이 철저한 인물은 대중의 지지를 받기 어렵다. 개인적으로는 인정을 받겠으나 대중은 어리석은 것 같지만 한사람의 천재보다 낫다고 했다. 항차 B시가 발전하려면 결코 불협화음이 일어서도 안되고 이불협화음에 휘발유를 끼얹어 잠재우려는 우를 범해서도 안된다. 경영주는 하나다. 단체장은 덕을 베풀어 존경을 받아야 하며 최고의 경영주가 되려면 조직이 하나로 움직여져야 한다. 또한 경영주보다 능력이 많은 부하직원은 자신의 능력을 경영주를 보필하는데 사용해야만 빛을 발휘할 수 있다. 결코 맞서려고 하거나 대결하려는 듯한 인상이 많은 이들에게 감지된다면 결국 자기발등을 찍는 일이다. 임명직이 아닌 주민의 손에 의해 선출된 단체장은 보장된 임기가 있고 모든 책임이 그에게 있기에 권한 또한 고유함을 잊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단체장은 누구를 막론하고 확고한 신념으로 그 단체를 리더해야 하며 그러기위해서는 조직의 와해나 불만의 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그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을때 가장 합리적이란 사실도 잊어서는 안된다. 또한 국과장을 직접 상대해 결재를 시도하기보다는 실무 담당자를 통해 결재를 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모든 공직자의 볼멘소리는 자신의 권한과 권리마져 무시당하고 의무와 책임만을 강조할때 나오는 불만임을 간과해선 안된다.
유의호 <편집국장 | 2004/09/20 게재> <저작권자 ⓒ 시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
|